그로구투자

미국주식 세금 양도소득세 절세방법 장점 팁(vs국내주식)

닉그로구 2024. 6. 17. 19:57
반응형

 

 

 

 

미국 주식 vs 국내 주식: 세금과 양도소득세 비교 및 절세 방법

 

주식 투자는 매력적인 재테크 수단이지만, 국가마다 세금 정책이 달라 이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미국 주식과 국내 주식에 대한 세금 및 양도소득세를 비교하고, 절세 방법과 투자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1. 세금 비교

 

국내 주식

 

  1. 배당소득세: 배당소득에 대해 15.4%의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
  2. 양도소득세:
    1. 비상장 주식 및 대주주(지분율 1% 이상 또는 시가총액 10억 원 이상)의 경우, 양도차익에 대해 20~25%의 세율이 적용됩니다.
    2. 소액주주(지분율 1% 미만 또는 시가총액 10억 원 미만)의 경우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.
  3. 증권거래세: 주식을 매도할 때 거래 대금의 0.23%가 증권거래세로 부과됩니다.

 

미국 주식

 

  1. 배당소득세: 미국 주식의 배당소득에 대해 15%의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 한국에서도 추가로 15.4%의 배당소득세를 납부해야 하지만, 미국에서 원천징수된 15%는 한국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2. 양도소득세:
    1. 한국 거주자는 미국 주식 매매차익에 대해 22%의 양도소득세(지방소득세 포함)를 납부해야 합니다. 다만, 연간 250만 원까지는 비과세입니다.
  3. 증권거래세: 미국 주식 거래 시 증권거래세는 없습니다.

 

2. 예시로 보는 세금 계산

 

국내 주식

  • 상황: A 씨는 국내 주식을 1억 원에 매수하여 1억 5천만 원에 매도했습니다.
  • 양도차익: 5천만 원
    • 소액주주: 양도소득세 없음.
    • 대주주: 5천만 원 × 22% = 1,100만 원 (양도소득세)

미국 주식

  • 상황: B씨는 미국 주식을 1만 달러에 매수하여 1만 5천 달러에 매도했습니다.
  • 양도차익: 5천 달러
    • 양도소득세: (5천 달러 - 250만 원) × 22% = 935,000원 (양도소득세)
    • 배당소득세: 배당소득이 1천 달러인 경우, 미국에서 15% 원천징수(150달러), 한국에서 15.4% (154달러) 중 15% (150달러) 세액공제 후 추가 납부 (4달러)

 

3. 장단점

 

국내 주식

  1. 장점:
    1. 국내 증권사의 다양한 서비스 이용 가능
    2. 거래세 이외의 양도소득세 면제(소액주주)
    3. 접근성과 정보의 용이성
  2. 단점:
    1. 증권거래세 부과
    2. 대주주의 경우 높은 양도소득세

미국 주식

  1. 장점:
    1. 다양한 투자 기회(글로벌 대기업, 혁신 기업 등)
    2. 증권거래세 없음
  2. 단점:
    1. 이중과세 가능성(배당소득세)
    2. 양도소득세 적용
    3. 환율 변동 위험

 

 

4. 절세 방법

 

국내 주식

  • 대주주 되지 않기: 대주주 기준을 피하여 양도소득세를 면제.
  • 손익 상계: 손실이 발생한 주식을 매도하여 양도차익과 상계함으로써 세금 부담을 줄임.
  • 장기 보유: 증권거래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기 보유 전략을 활용.

 

미국 주식

  • 세액공제 활용: 미국에서 원천징수된 배당소득세에 대해 한국에서 세액공제를 받아 이중과세를 방지.
  • 손익 상계: 한국 주식과 마찬가지로 손실이 발생한 주식을 매도하여 양도차익과 상계.
  • 장기 보유: 장기 보유를 통해 자주 발생하는 거래비용과 세금 부담을 줄임.
  • 절세 상품 활용: 미국의 절세 혜택이 있는 연금계좌나 세제혜택이 있는 투자상품을 활용.

 

※ 투자팁

 

  1. 정보 수집: 투자 전 각 국가의 세법 및 절세 방법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.
  2. 다변화: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여 리스크를 분산.
  3. 전문가 상담: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절세 방법을 찾는 것.
  4. 장기 투자: 단기 거래보다는 장기 투자를 통해 세금과 거래비용을 최소.

 

 

반응형